zeno
Home
Explore
Religious
Music
News
Podcasts
Bible
By Genre
By Location
By Language
Download App
Log in
Sign up
Toggle Sidebar
zeno
북저널리즘
북저널리즘 weekend
News
Korean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Website
Episodes
196
13 September 2025
잘 팔리는 것들: ep.02
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이번 시리즈는 〈잘 팔리는 것들〉입니다. 흔히 잘 팔린다고 알려진 현상이나 상품은 레퍼런스가 됩니다. 인사이트의 원천이 되죠. 하지만 성공 레시피를 반복하는 것만으로 혁신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다른 시각이 필요하죠. 베스트셀러에 대한 개인적인 거리감, 철학적인 의심이 쌓여 다음 베스트셀러가 탄생합니다.ep.02에서는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을 다룹니다. 쿠팡 파트너스 프로그램처럼 인플루언서나 유튜버 등이 상품을 홍보하고, 고유의 링크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면 수수료를 정산받는 방식입니다. 요즘 소셜 미디어, 틱톡, 유튜브 콘텐츠에서...
29 min
06 September 2025
잘 팔리는 것들: ep.01
ep.01: 자기 계발서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두 번째 시리즈는 〈잘 팔리는 것들〉입니다. 흔히 잘 팔린다고 알려진 현상이나 상품은 레퍼런스가 됩니다. 인사이트의 원천이 되죠. 하지만 성공 레시피를 반복하는 것만으로 혁신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다른 시각이 필요하죠. 베스트셀러에 대한 개인적인 거리감, 철학적인 의심이 쌓여 다음 베스트셀러가 탄생합니다.ep.01에서는 자기 계발서를 다룹니다. 서점의 베스트셀러 코너를 늘 가득 채우고 있는 장르입니다. 누군가에겐 거리감이 느껴지는 책입니다. 반대로 누군가에겐 삶을 든든하게 지원하는 가이드북이죠. 2023년을...
23 min
26 July 2025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 Ep3
Ep3 제트랜드: 독자가 아니라 친구를 모은 미디어북저널리즘 팟캐스트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 시리즈의 마지막 편입니다. 이번에는 북유럽으로 향합니다. Ep3에서는 덴마크의 뉴스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의 실험을 살펴봅니다.제트랜드는 2016년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 지하실에서 네 명의 기자가 시작한 유료 매체입니다. 제트랜드는 5분 전에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이 시대를 규정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속보성 뉴스는 다루지 않고 슬로우 저널리즘을 지향합니다.덴마크 인구는 600만 명입니다. 시장이 너무 작아서 광고 모델을 채택할 수가 없었죠. 제트랜드는 사람들이 기꺼이 지갑을 열 만한 고품질 저널리즘 콘텐츠를 만들기로 합니다. 제트랜드는 롱폼 텍스트 콘텐츠에 오디오를 결합하고,...
26 min
12 July 2025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 Ep2
Ep2 더 데일리: 친근함, 바바로, NYT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첫 번째 시리즈는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입니다. 지금은 성공한 미디어들이 론칭 초기에 사용자를 어떻게 모았는지 이야기합니다. 미디어 세 곳의 이야기를 에피소드 세 편에 걸쳐 살펴봅니다. 미국의 경제 뉴스레터 ‘모닝브루(Morning Brew)’,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더 데일리(The Daily)’, 덴마크의 미디어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입니다.Ep2에서는 더 데일리를 다룹니다. 뉴욕타임스는 평일 종이 신문을 60만 부 인쇄합니다. 더 데일리는 매일 400만 회...
22 min
28 June 2025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 Ep1
Ep1 모닝브루: 손을 더럽힐 각오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첫 번째 시리즈는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입니다. 지금은 성공한 미디어들이 초기에 사용자를 어떻게 모았는지 이야기합니다. 미디어 세 곳의 이야기를 에피소드 세 편에 걸쳐 살펴봅니다. 미국의 경제 뉴스레터 ‘모닝브루(Morning Brew)’,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더 데일리(The Daily)’, 덴마크의 미디어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입니다.Ep1에서는 모닝브루를 다룹니다. 2014년 미시간대학교 재학생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해 구독자 400만 명, 연매출 7000만 달러의...
32 min
03 January 2025
weekend; 2024년을 만든 인물, 딱 열 명 선정해 이야기합니다. (4)
2024년을 만든 인물 10인을 이야기합니다. 지난 1편에서는 트럼프, 머스크, 푸틴, 윤석열, 한강까지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나머지 5인을 살펴봅니다. 또 어떤 인물들이 2024년을 웃고 울고 놀라게 했을까요? 독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
39 min
03 January 2025
weekend; 2024년을 만든 인물, 딱 열 명 선정해 이야기합니다. (3)
2024년을 만든 인물 10인을 이야기합니다. 지난 1편에서는 트럼프, 머스크, 푸틴, 윤석열, 한강까지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나머지 5인을 살펴봅니다. 또 어떤 인물들이 2024년을 웃고 울고 놀라게 했을까요? 독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
35 min
28 December 2024
weekend; 2024년을 만든 인물, 딱 열 명 선정해 이야기합니다. (2)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많은 일들이 있었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부터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10~12월에 대형 이슈가 몰리면서 기쁘고 놀랍고 분노하는 연말이었습니다. 올해 어떤 일들이 또 있었을까요? 2024 올해의 인물 10인을 통해 올 한 해를 돌아봅니다. 2024년 12월 마지막 주와 2025년 1월 첫 주, 2주에 걸쳐 업로드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
45 min
27 December 2024
weekend; 2024년을 만든 인물, 딱 열 명 선정해 이야기합니다. (1)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많은 일들이 있었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부터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10~12월에 대형 이슈가 몰리면서 기쁘고 놀랍고 분노하는 연말이었습니다. 올해 어떤 일들이 또 있었을까요? 2024 올해의 인물 10인을 통해 올 한 해를 돌아봅니다. 2024년 12월 마지막 주와 2025년 1월 첫 주, 2주에 걸쳐 업로드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북저널리즘 둘러보기https://www.bookjournalism.com/
34 min
21 December 2024
weekend; 루이뷔통은 어렵고 에르메스는 살 만하다는데?
개인 명품의 전 세계 매출은 2000년 1000억 달러에서 2023년 4000억 달러로 증가했는데요, 이 성장세가 꺾이고 있습니다. 컨설팅 업체인 베인에 따르면 개인 명품에 대한 지출은 2024년에 2퍼센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최대 럭셔리 대기업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패션 및 가죽 제품 판매가 급감했죠. 할인 판매에 나선 럭셔리 브랜드도 많습니다. 서구의 중산층 소비자들은 높은 이자율과 고용 시장 냉각으로 사치품 지출을 줄이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명품 시장인 중국에서도 변화가 감지됩니다. 중국 젊은이들은 명품 가방 대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며 검소함을 과시합니다. 게다가 럭셔리 브랜드들의 확장 전략도 스스로의 발목을 잡았습니다.북저널리즘...
19 min